2017년, 2018년 이후부터 급격하게 발생한 사회적인 이슈입니다. 페미니즘 사상은 복잡하고 다양하지만 한국사회에 깊게 뿌리를 내리고 있는 전통적인 사회적 구조로, 가족이나 사회에서 남성이 여성을 지배하는 사회적인 관계에서 비롯되었다고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가부장주의는 한국사회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으며, 여성들은 가족과 사회에서 남성의 지배를 받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여성들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인 참여도 증가하면서 가부장주의에 대한 인식이 자연스럽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현재 사회구조는 가정을 이뤘을 때 예전과 다르게 외벌이로 먹고 살기 힘든 게 현실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맞벌이를 하게 되면서 여성들이 사회적 위치가 바뀌었습니다. 이렇게 자연스럽게 바뀌어서 인식도 따라서 바뀔 수밖에 없는데도 불구하고 일부매체나 정치인들이 페미니즘을 지향하면서 과장된 주장을 하기 때문에 사회에서 제 각기 다른 페미니즘사상들이 생겨나고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부작용은 미혼, 저출산, 여성혐오, 남성혐오, 서로 폄훼, 책임회피 등이 있습니다. 더 나아가 심각한 것은 심각한 범죄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무조건적으로 이분법에 페미니즘을 지향하는 것은 옳은 방법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언제부터인가 페미니즘이라는 것이 이슈가 됐는데 페미니즘 사상으로 강한 주장을 하면서 반으로 굳이 나눌 필요가 있을까요? 이런걸 이슈화해서 양극화가 심해지도록 할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그냥 넘어가도 될 문제도 이슈화해서 갈등을 조장하고 있는 것입니다. 앞으로는 개인에 대해서 더 초점을 맞추고 해결 방법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과 주장이 아닐까요?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류 독감(조류 인플루엔자) (9) | 2023.12.13 |
---|---|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2) | 2023.12.13 |
이 사회가 자존감이라는 단어조차 몰라도 되는 이유 (16) | 2023.11.15 |
자기계발서가 도움이 안되는 이유 (4) | 2023.11.15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대하여 (25) | 2023.11.13 |